Coding Test/백준

백준 10845. 큐

so.so 2021. 3. 2. 01:15

Queue

: FIFO(First in First out으로 선입선출 자료구조이다.

( 즉,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게 된다.)

-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front(head)라 하고, 뒤에 입력한 데이터를 rear(tail)이라 한다.

 

덱이란?

: Double-ended queue의 줄임말로, LinkedList가 이 덱을 implements해서 만든것임

- 앞과 뒤에 삽입과 삭제를 할 수 있음

 

Queue<integer> queue = new ArrayDeque<>();

Queue<Double> queue = new LinkedList<>();

Queue<String> queue = new PriorityQueue<>();

 

 

공유 소스 보기

 

www.acmicpc.net

 

처음엔 Scanner로 사용했는데, 시간초과떠서 Buffer로 바꿨다.

import java.util.*;
import java.io.*;
//큐
//줄을 지어 순서대로 처리되는 것 - FIFO

//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후
//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?

public class Main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
        List<Integer> queue = new ArrayList<>();
        
        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        
        while(n-- > 0){
            
            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    String temp = st.nextToken();
        
            switch(temp){
    
                //조건 시작
                //문자열 비교를 위해 equals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//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
                case "push":
                    queue.add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  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//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 (없으면 -1)
                case "front":
                    if(queue.isEmpty())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-1);
        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queue.get(0)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
                    //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 (없으면 -1)
                case "back":
                    if(queue.isEmpty())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-1);
        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queue.get(queue.size() - 1)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
                    //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
                case "size":
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queue.size());
                    break;

                    //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 출력 (없으면 -1)
                case "pop":
                    if(queue.isEmpty())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-1);
        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queue.get(0));
                        queue.remove(0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
                    //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
                case "empty":
                    if(queue.isEmpty())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1);
        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0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}